화랑대역 (폐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화랑대역은 1939년 태릉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여 1958년 화랑대역으로 역명이 변경되었으며, 경춘선 복선 전철화 사업으로 2010년 폐역되었다. 폐역 전에는 무궁화호가 정차하였으며, 육군훈련소에서 훈련을 마친 카투사 지원병들이 캠프 잭슨으로 가기 위해 이용하기도 했다. 역사는 국가등록문화재로 지정되어 박물관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철도공원이 조성되어 증기기관차 등이 전시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0년 폐지된 철도역 - 금지역
금지역은 1933년 배치간이역으로 시작하여 보통역으로 승격되었으나, 여객 취급이 중지되고 무배치간이역으로 격하된 전라선 상의 역이다. - 2010년 폐지된 철도역 - 신공덕역
1933년 경춘선에 개업하여 2010년 폐지된 신공덕역은 경성제국대학 이공학부 학생들의 통학 편의를 위해 설치되었으며, 역명은 역 소재지인 경기도 양주군 노해면 공덕리에서 유래했다. - 서울 노원구의 건축물 - 노원마들스타디움
노원마들스타디움은 서울 노원구에 위치하며 지하철 7호선 중계역과 버스 노선을 통해 대중교통 접근성이 용이한 스포츠 시설이다. - 서울 노원구의 건축물 - 육군사관학교 육군박물관
육군사관학교 육군박물관은 육군사관학교 내에 위치한 군사 박물관으로, 선사시대부터 현대까지의 군사 유물을 전시하며, 제1, 2 전시실, 육사기념관, 옥외 및 야외 전시장을 갖추고 있다. - 서울특별시의 국가등록문화유산 - 한강철교
한강철교는 경부선 등 주요 철도 노선을 잇는 서울 한강의 철교로, A, B, C, D선의 4개 교량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한국 철도 역사와 전쟁의 역사, 그리고 산업 발전의 상징으로 평가받고 있다. - 서울특별시의 국가등록문화유산 - 3·1독립선언서
1919년 손병희 등 민족대표 33인이 한국의 독립을 선언한 3·1독립선언서는 최남선이 초안을 작성하고 2·8 독립 선언의 영향을 받아 조선의 독립과 조선인의 자주민임을 선언하며 3·1 운동의 기폭제가 되어 대한민국 국가등록문화재로 지정되었다.
화랑대역 (폐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역 이름 | 화랑대역 |
한자 표기 | 花郎臺驛 |
로마자 표기 | Hwarangdae |
모국어 표기 | 화랑대 |
위치 | 서울특별시 노원구 공릉2동 38-21 |
소속 노선 | 경춘선 |
이전 역 | 신공덕 |
다음 역 | 퇴계원 |
역간 거리 (이전 역) | 2.3km |
역간 거리 (다음 역) | 5.4km |
기점역 | 성북 |
역 번호 | (없음) |
소속 사업자 | 한국철도공사 |
역 종류 | 폐역 |
역 구조 | 지상역 |
승강장 | 1면 2선 |
개업일 | 1939년 7월 20일 |
폐지일 | 2010년 12월 21일 |
역사 정보 | |
![]() | |
관리 | 코레일 수도권동부본부 가평관리역 |
문화재 정보 | |
문화재 명칭 | 서울 구 화랑대역 |
한자 문화재 명칭 | 서울 舊 花郞臺驛 |
유형 | 국가등록문화재 |
문화재 번호 | 300 |
지정일 | 2006년 12월 4일 |
해제일 | (없음) |
주소 | 서울특별시 노원구 공릉2동 29-51, 37-2 |
시대 | 일제강점기 |
소유 | 한국철도공사 |
참고 | 역사 1동, 광장 일곽 |
문화재청 | 79,03000000,11 |
기타 정보 | |
단말기 번호 | 254 |
옛 경춘선 | 이전 역: 신공덕 다음 역: 갈매 |
2. 역 정보
폐역 이전에는 하루 7회의 무궁화호가 정차하였다. 그러나 경춘선의 복선 전철화로 선로가 망우 - 갈매를 잇는 노선으로 이설되면서, 기존 성북 - 퇴계원 구간이 폐선되어 화랑대역도 함께 폐지되었다. 마지막 화랑대 역장은 신설된 상봉역의 역장이 되었으며,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는 상봉역을 거쳐 광운대역으로 이관되었다. 경춘선과 6호선의 환승은 폐역 9년 뒤 6호선 신내역이 개통하며 가능해졌다.
과거 논산 육군훈련소에서 기초군사훈련을 마친 카투사 지원병들이 캠프 잭슨에 위치한 카투사교육대로 입소하기 위하여 이 역까지 운행하는 열차가 정차하였다. 역사는 국가등록문화재 제300호로 지정되어 폐역 이후에도 그대로 남았으며, 박물관으로 바뀌었다. 승강장 주변에는 미카형·혀기형 증기 기관차 및 협궤 객차가 전시되었으며[4], 2018년에 경춘선숲길과 연계한 철도공원이 들어섰다.
- 1939년 7월 20일: '''태릉역'''(泰陵驛)으로 영업 개시[5]
- 1958년 1월 1일: '''화랑대역'''(花郞臺驛)으로 역명 변경[6]
- 1976년 7월 10일: 화물취급 중지[7]
- 1977년 5월 16일: 수소화물취급 중지[8]
- 2000년 1월 1일: 화물취급 개시[9]
- 2004년 4월 1일: 통일호 열차 폐지 및 무궁화호 승격.
- 2006년 12월 4일: 역사 국가등록문화재로 지정
- 2010년 9월 1일 : 화물취급 중지[10]
- 2010년 12월 21일 : 경춘선 복선 전철화 사업 개통으로 성북-퇴계원 구간이 폐지되면서 폐역.[11]
2. 1. 승강장 (폐역 이전)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지상역이었다. 과거에는 하루 7편의 무궁화호가 정차했었다. 그러나 경춘선 복선 전철화에 따른 노선 변경으로 인해 화랑대역을 경유하지 않는 노선으로 변경되어 폐지되었다.[3]
3. 역사
폐역 이전에는 하루 7회의 무궁화호가 정차하였다. 그러나 복선 전철화로 경춘선의 선로가 이 역을 경유하지 않고 망우 - 갈매를 잇는 노선으로 이설되었고, 이로 인하여 기존 성북 - 퇴계원 구간이 폐선되면서 화랑대역도 함께 폐지되었다. 마지막 화랑대 역장은 신설된 상봉역의 역장이 되었으며,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는 상봉역을 거쳐 광운대역으로 이관되었다. 경춘선과 6호선의 환승은 폐역 9년 뒤 6호선 신내역이 개통하며 가능해졌다.
과거 논산 육군훈련소에서 기초군사훈련을 마친 카투사 지원병들이 캠프 잭슨에 위치한 카투사교육대로 입소하기 위하여 이 역까지 운행하는 열차가 정차하였다. 역사는 국가등록문화재 제300호로 지정되어 폐역 이후에도 그대로 남았으며, 박물관으로 바뀌었다. 승강장 주변에 미카형·혀기형 증기 기관차 및 협궤 객차가 전시되었으며, 2018년에 경춘선숲길과 연계한 철도공원이 들어섰다.
4. 역 주변
폐역 이전에는 하루 7번 무궁화호가 정차하였다. 그러나 복선 전철화로 경춘선 선로가 이 역을 지나지 않고 망우 - 갈매를 잇는 노선으로 옮겨가면서, 성북 - 퇴계원 구간이 폐선되어 화랑대역도 함께 폐지되었다. 현재 역사는 국가등록문화재 제300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폐역 후에는 박물관으로 바뀌었다. 승강장 주변에는 미카형, 혀기형 증기 기관차 및 협궤 객차가 전시되었고[4], 2018년에 경춘선숲길과 연계한 철도공원이 들어섰다.
인근 시설은 다음과 같다.
5. 활용
폐역 이전에는 하루 7차례 무궁화호 열차가 섰다. 그러나 경춘선이 복선 전철화되면서 망우 - 갈매를 잇는 새 노선으로 옮겨가고, 기존 성북 - 퇴계원 구간은 폐선되면서 화랑대역도 함께 문을 닫았다. 마지막 화랑대 역장은 새로 생긴 상봉역 역장이 되었고,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는 상봉역을 거쳐 광운대역으로 옮겨졌다. 6호선 신내역이 개통되면서 폐역 9년 뒤 경춘선과 6호선의 환승이 가능해졌다.
5. 1. 철도공원
국가등록문화재 제300호로 지정된 화랑대역사는 폐역 이후에도 그대로 남았으며, 박물관으로 바뀌었다. 승강장 주변에는 미카형, 혀기형 증기 기관차 및 협궤 객차가 전시되었고[4], 2018년에 경춘선숲길과 연계한 철도공원이 들어섰다.2018년에는 남은 역 시설을 이용하여 철도공원이 조성되었으며, 증기기관차 외에 양도받은 히로시마 전기철도 900형 전차가 운행될 예정이다.[3]
5. 2. 카투사 교육대
과거 논산 육군훈련소에서 기초군사훈련을 마친 카투사 지원병들이 캠프 잭슨에 위치한 카투사 교육대로 입소하기 위해 이 역까지 운행하는 열차가 정차하였다.[4]참조
[1]
웹사이트
화랑대역
https://terms.naver.[...]
Doosan Encyclopedia
2021-02-26
[2]
웹사이트
서울 구 화랑대역 (羅州 舊 南平驛)
http://www.heritag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2021-02-26
[3]
뉴스
日本の広島電鉄 ソウルの鉄道公園に路面電車を無償譲渡
http://japanese.yonh[...]
聯合ニュース
2018-03-01
[4]
뉴스인용
1950년대 미카열차와 협궤열차 '노원구로'
http://news1.kr/phot[...]
뉴스1
2017-06-25
[5]
간행물
조선총독부관보 휘보 교통 사설철도운수개시
1939-07-26
[6]
간행물
대한민국관보 교통부고시 제506호
1957-12-02
[7]
간행물
대한민국관보 철도청고시 제15호
1976-07-02
[8]
간행물
대한민국관보 철도청고시 제10호
1977-05-07
[9]
간행물
대한민국관보 철도청고시 제1999-55호
1999-12-27
[10]
간행물
대한민국관보 국토해양부고시 제2010-582호
2010-08-31
[11]
간행물
대한민국관보 국토해양부 고시 제2010-676호
http://www.molit.go.[...]
2010-10-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